아시안 게임 농구 국가대표가 별 볼일 없는 성적을 거뒀다.
송영진이 집중..포화를 맞고 있고.
아시안 게임 중계를 거의 못보고, 케이비엘도 거의 못본 입장서는 뭐라 말하기는 좀 힘들지만.. 그냥 주절거려 본다면.
일단.. 송영진 국내 들어와서 부진에 빠지면 어쩌지..하는 걱정.
이선수가 기본적으로 적응하는데 좀 시간이 걸리는 스타일인듯 한데.
대학 일학년때도 헤맸고.. 프로에서도 헤맸고..
슛폼이 공을 감아싸듯 던지는 스타일이라 좋은 점퍼를 기대하긴 힘들듯하고. 그런 슈팅폼으로 쓸만한 점퍼를 구사하는 선수는... 김영만 정도..
대학시절 플레이도 돌파후 레이업 올라가든지. 아니며 외곽에서 삼점 던지든지 였던듯 싶고.
샤프한 미들점퍼를 때리는 선수가 아니라 포스트업에서 위력적인 모습은 그다지 기대하기 힘들고. 케이비엘 높이에서 통할려면 김주성 정도의 키는 되야 골밑슛이 가능하니....
기본적으로 돌파는 되는지라.. 케이비엘 기본 공식이라 할 긴 돌파후.. 빼주기는 가능하니 큰 문제는 없을 듯 싶고. 안정감만 찾으면 기본적인 운동능력이나 수비력이나 큰 문제가 없는데.. 득점력은 조금 약하지.
외곽이야.. 언제나 그렇듯 날에 따라 다르고..
듣는바로는 수비나 허슬 플레이는 그럭저럭 했는데... 삼점 때매 엄청 욕을 먹은 것인데.
그거야..뭐..날이 나빴던거지..ㅡㅡ; 외곽 잘들어가서 가끔 팀 살린적도 꽤 되는데......ㅡㅡ;;;
가장 문제는 감독 아니였을까..?
최부영감독이 수비 잘시키고 똘망똘망하게 팀을 짜는 스타일이긴 하지만 그것 뿐이잖아..?
경희대는 예나 지금이나 빨빨하되... 공격은 뻔한..팀 아니였던가.
골밑슛 좀 노려보다.. 전원 삼점..ㅡㅡ;;
팀의 장신화를 꾀하려면 미들라인 득점력을 키워야 되는데. 그에 대한 패턴은 꽝.
국내에서 개인기로 미들라인 득점이 가능한 인간들도 몇 안되는 판에 국대에서 가능할리는 더욱 만무. 패턴으로 노마크 찬스를 내주는 수 밖에 없는데... 모든 찬스는 삼점라인으로 몰리고...
데리고간 삼점 슈터들은 모두 고장이고...
결국 득점의 50~60%을 용병이 처리해주는 현 시스템에선... 모두들 클러치가 되는것도 아니고.. 마지막을 위한 패턴이 있는 것도 아니고.. 노막삼점 밖엔 없고.. 전체적인 공격력 빈곤에 시달리고..
참... 오세근 스텝 밟는게 참 좋던데. 그날 고대 겹수비가 장난 아니었던걸 생각하면.. 또 밀리는 상황에서 무리한 득점을 올리려고 애쓰던 중이었던걸 생각하면.. 제대로 일대일 붙으면 꽤나 잘하겠다는 느낌. 슛만되라...!!
빡빡한 상황에선 함지훈의 묘한 백레이업(?)도 꽤 유용하긴 한데.. 졸업할때까지 끝내 그외의 공격루트를 갖지 못한건 정말 안타깝다..ㅜㅜ
송영진이 집중..포화를 맞고 있고.
아시안 게임 중계를 거의 못보고, 케이비엘도 거의 못본 입장서는 뭐라 말하기는 좀 힘들지만.. 그냥 주절거려 본다면.
일단.. 송영진 국내 들어와서 부진에 빠지면 어쩌지..하는 걱정.
이선수가 기본적으로 적응하는데 좀 시간이 걸리는 스타일인듯 한데.
대학 일학년때도 헤맸고.. 프로에서도 헤맸고..
슛폼이 공을 감아싸듯 던지는 스타일이라 좋은 점퍼를 기대하긴 힘들듯하고. 그런 슈팅폼으로 쓸만한 점퍼를 구사하는 선수는... 김영만 정도..
대학시절 플레이도 돌파후 레이업 올라가든지. 아니며 외곽에서 삼점 던지든지 였던듯 싶고.
샤프한 미들점퍼를 때리는 선수가 아니라 포스트업에서 위력적인 모습은 그다지 기대하기 힘들고. 케이비엘 높이에서 통할려면 김주성 정도의 키는 되야 골밑슛이 가능하니....
기본적으로 돌파는 되는지라.. 케이비엘 기본 공식이라 할 긴 돌파후.. 빼주기는 가능하니 큰 문제는 없을 듯 싶고. 안정감만 찾으면 기본적인 운동능력이나 수비력이나 큰 문제가 없는데.. 득점력은 조금 약하지.
외곽이야.. 언제나 그렇듯 날에 따라 다르고..
듣는바로는 수비나 허슬 플레이는 그럭저럭 했는데... 삼점 때매 엄청 욕을 먹은 것인데.
그거야..뭐..날이 나빴던거지..ㅡㅡ; 외곽 잘들어가서 가끔 팀 살린적도 꽤 되는데......ㅡㅡ;;;
가장 문제는 감독 아니였을까..?
최부영감독이 수비 잘시키고 똘망똘망하게 팀을 짜는 스타일이긴 하지만 그것 뿐이잖아..?
경희대는 예나 지금이나 빨빨하되... 공격은 뻔한..팀 아니였던가.
골밑슛 좀 노려보다.. 전원 삼점..ㅡㅡ;;
팀의 장신화를 꾀하려면 미들라인 득점력을 키워야 되는데. 그에 대한 패턴은 꽝.
국내에서 개인기로 미들라인 득점이 가능한 인간들도 몇 안되는 판에 국대에서 가능할리는 더욱 만무. 패턴으로 노마크 찬스를 내주는 수 밖에 없는데... 모든 찬스는 삼점라인으로 몰리고...
데리고간 삼점 슈터들은 모두 고장이고...
결국 득점의 50~60%을 용병이 처리해주는 현 시스템에선... 모두들 클러치가 되는것도 아니고.. 마지막을 위한 패턴이 있는 것도 아니고.. 노막삼점 밖엔 없고.. 전체적인 공격력 빈곤에 시달리고..
참... 오세근 스텝 밟는게 참 좋던데. 그날 고대 겹수비가 장난 아니었던걸 생각하면.. 또 밀리는 상황에서 무리한 득점을 올리려고 애쓰던 중이었던걸 생각하면.. 제대로 일대일 붙으면 꽤나 잘하겠다는 느낌. 슛만되라...!!
빡빡한 상황에선 함지훈의 묘한 백레이업(?)도 꽤 유용하긴 한데.. 졸업할때까지 끝내 그외의 공격루트를 갖지 못한건 정말 안타깝다..ㅜㅜ